독립출판사 9

[단어선택] 국민, 백성, 민중, 민초

제가 안토니오 네그리와 마이클 하트가 지은 '공통체'라는 책을 읽으면서 '다중'이라는 말이 나와서 왜 이렇게 번역을 했을까, 하고 이상하게 생각했습니다. 물론 다중多衆이라는 말은 "많은 사람"을 뜻하기는 합니다. 그런데 다중이라는 말은 잘 쓰는 말은 아닙니다. 영어로 multitude를 다중으로 번역한 것인데 적절한 번역은 아닌 것 같아서 그렇다면 multitude는 무엇으로 번역하면 좋을지 한번 생각해 보았습니다. 가능한 단어는 국민, 백성, 민중, 민초와 같은 단어입니다. 저는 백성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백성이 지금 많이 쓰이는 단어는 아닌데 multitude를 번역하는 데는 다른 단어보다 백성이 좋을 것 같습니다. 네그리와 하트가 말하는 multitude는 단수로 취급될 수 없는 복..

[단어선택] 초미의 관심사?

"초미의 관심사"는 자주 쓰는 말 중에 하나입니다. 저도 종종 이 말을 쓰기는 했는데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알지 못하고 썼습니다. 저는 "초미의 관심사"가 아주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아니더군요. 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초미(焦眉): (주로 ‘초미의’의 꼴로 쓰여) 눈썹에 불이 붙었다는 뜻으로, 매우 위급함을 이르는 말. 출전은 불교의 《오등회원(五燈會元)》이다. 그스를 초, 눈썹 미를 씁니다. 그러니까 초미의 관심사는 매우 급한 관심사라는 뜻입니다. 눈썹이 타고 있다면 관심을 빨리 가져야 하는 상황이죠. 그런데 저는 '초미'라는 말과 '관심'이라는 말이 서로 어울리지 않는 것 같습니다. 눈썹이 타고 있다면 빨리 꺼야 할 일이지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일은 아닐 텐데요..

[좋하2] 지금 당장 시를 쓰라_헨리 데이빗 소로우 "월든"

좋하를 바꿔 볼까 합니다. 여태까지는 여러 사람의 명언을 사용했지만 이제부터는 책 한 권에 있는 여러 문장을 생각하면서 나눠보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저자가 책을 통해서 한 말을 보면 좀 더 커다란 맥락 속에서 문장을 이해할 수 있고 일관성이 있을 테니까요. 그래서 당분간 헨리 데이빗 소로우의 "월든"에 나온 문장들을 통해 제 생각을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이 문장으로 시작하겠습니다. 삶의 가치가 가장 떨어지는 시기에 미심쩍은 자유를 누리기 위하여 인생의 황금 시절을 돈 버는 일로 보내는 사람들을 보면, 고국에 돌아와 시인 생활을 하기 위하여 먼저 인도로 건너가서 돈을 벌려고 했던 어떤 영국 사람이 생각난다. 그는 당장 다락방에 올라가 시를 쓰기 시작했어야 했다. - 헨리 데이빗 소로우, 월든, p.86 -..

[그/그녀] 그녀는 어디에 있을까?

저는 '그녀'라는 표현을 쓰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나도 모르게 그녀라는 표현을 튀어나오기도 하지만 가능하면 쓰지 않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그녀'라는 표현은 오해를 받을 소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녀는 어디에 있을까?"라는 문장을 보죠. 글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 문장을 말로 옮기면 문제가 될 때가 있습니다. "그녀는 어디에 있을까?" "그년은 어디에 있을까?" 위의 두 문장을 자연스럽게 읽으면 완전히 똑같은 발음으로 읽게 됩니다. 단순히 3인칭으로 사람을 부를 때 성별을 구분해서 그, 그녀로 칭하려고 했는데 의도치 않게 욕설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녀'라는 표현은 쓰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특별히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은 가끔 3..

[좋하2] 천국의 계단_미켈란젤로

미켈란젤로는 참 대단한 사람입니다. 미켈란젤로가 시스티나 성당의 천장에 그린 그림의 작품수가 무려 12,000점입니다. 그것도 1508년에서 1512년이라는 불과 4년 정도에 그린 그림의 수가 그렇습니다. 게다가 천장에 그린 그림인데요. 정확한 작업 과정은 모르겠으나 천장에 바로 그린 것 같은데 12,000점의 작품을 4년 정도의 시간에 그린 것은 정말 굉장한 일이고 고된 작업이었음에 분명합니다. 그렇게 많은 작품을 그렸는데도 작품 하나하나가 허투루 그린 것이 없습니다. 아담과 하느님이 손을 뻗어서 닿을락 말락 한 '아담의 창조'와 같은 작품이 가진 상상력과 표현력은 500년이 지난 지금의 예술가들도 가히 따라가기 힘들 정도입니다. 그런데 정말 딱 드는 생각이 이런 것이죠. '어떻게 이렇게 웅장하고 아름..

[좋하2] 등잔 밑이 어두운 이유_라라

당신이 원하는 것은 아주 귀하고 또 구하기 어려운 것. 그러나 바로 당신 곁에 있다. - 라라 - 일단 라라가 누구인지 몰라서 좀 찾아봤는데 여전히 누구인지 모르겠네요. 이름이 너무 짧게 나와서 정확히 누구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당신이 원하는 것은 아주 귀하고 또 구하기 어려운 것이라는 라라의 말에 동의합니다. 사람은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에서 만족을 느끼지 못합니다. 사람이 가진 욕망의 강도가 워낙 세서 흔하고 사소한 것을 얻었을 때는 행복을 느끼지 못합니다. 희소성이 매우 높은 것을 얻거나 혹은 엄청난 노력을 통해서 원하는 것을 얻을 때 기쁨을 느낍니다. 그런데 그것은 바로 내 곁에 있다는 사실. 내가 원하는 것이 내 곁에 있거나 또는 심지어 내가 가지고 있는데 그것을 발견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띄어쓰기] 잘사는 것도 좋지만 잘 사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띄어쓰기 때문에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는 말이 있습니다. 말로 할 때는 잘 구분이 되지 않아서 전체 문맥에 따라서 판단해야 하지만 글로 쓸 때는 띄어쓰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구분이 되는 말이 있습니다. '잘살다'와 '잘 살다'가 그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잘살다'는 사전에 있는 말이고 '잘 살다'는 사전에 없는 말입니다. '잘살다'의 기본 의미는 "재물을 넉넉하게 가지고 살다"는 의미입니다. '잘살다'는 또 다른 의미도 있습니다. '다음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두 번째 의미가 있습니다. 2. (사람이) 탈 없이 지내거나 화목하게 살다. 예문) 두 사람은 오래오래 행복하게 잘살았습니다. '잘살다'의 기본 의미와는 많이 다릅니다. '잘살다'의 두 번째 의미는 '잘 살다'의 의미와 비슷합니다...

[단어선택] 혹은 떼라_혹은 말고 또는

'또는'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게 되는 단어입니다. 가끔 글을 쓰고 자신이 쓴 글을 유심히 읽다 보면 내가 어떤 단어를 선호하는지 알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가 이번에 알게 된 저의 글쓰기 습관 중 하나는 제가 '혹은'이라는 단어를 좋아한다는 사실입니다. '또는'이라고 써도 되는 정말 많은 곳에 '혹은'이라는 말을 썼다는 사실을 확인했지요. '또는'과 '혹은'은 완전히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단어를 쓰는 것이 더 좋을까요? '또는'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또는'은 우리말이고 '혹은'은 중국글자말이기 때문입니다. '혹은'에서 '혹'은 중국글자입니다. 或 혹 혹, 혹시 혹입니다. 다음 사전에서 "뒤 내용이 사실일지도 모른다는 의혹을 나타낼 때 쓰여 앞뒤 문장을 이어 주는 말..

[출판사일기] 리디북스의 문을 두드리다

요새 사람들은 책을 잘 읽지 않습니다. 예전에는 지하철에서 책을 읽는 사람이 꽤 있었는데 요새는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저는 가끔 지하철에서 책을 읽는데요. 뭔가 되게 어색합니다. 저는 책을 손에 들고 있는데 사람들도 손에 하나씩 들고 있는 것이 있죠. 바로... 핸드폰. 요새 사람들은 책을 들고 다니지 않지만 핸드폰은 꼭 들고 다닙니다. 책을 잘 안 들고 다니니까 책을 사지도 않고요. 책을 안 사니까 안 들고 다니는 것인지, 아니면 책을 들고 다니기 싫으니까 책을 안 사는 것인지, 무엇이 먼저인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결론은 책을 안 산다는 것인데요. 그래도 사람들은 책을 읽어야 하는데요. 책이 꼭 필요합니다. 종이책을 안 사더라도 다행히 핸드폰으로도 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언젠가는 ..

그바람 일기 2021.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