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바람 글쓰기 교실

'다대기'는 어디서 온 말일까?

쥬드코알라 2021. 12. 22. 08:59
728x90

이제 본격적인 겨울이지요.

지난주에는 추워지며 눈이 많이 내렸는데 이럴 때는 따끈한 곰탕이나 순댓국 한그릇에 다대기를 풀어서 냠냠 먹으면~~

추위가 싹 사라지겠죠?^^
여기서 '다대기'라는 표현! 

한자어인가?일본어인가? 아니면 순우리말? 
헷갈리네요^^
검색해보았습니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다대기'는 일본어 투 식생활 언어로 분류된다고 하네요.

일본어로 '두드리다'는 말을 뜻하는 다카키'에서 나왔다고 하고요. 그래서 ‘다짐’ 또는 ‘다진 양념’으로 순화하여 쓰도록 정했대요!!
그런데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함경도 지방에 냉면에 넣는 다진 고추가루 양념을 '다대기'라고 부르는 데서 왔다고 합니다.
함경도에서는 '다지다'를 '다디다'라고 발음하였고 따라서 다진 양념을 '다대기'라고 불렀기에 우리말이라는 의견도 있어요.
이렇게 '다대기'는 어원을 두고 논란이 있는 단어라고 하네요.

저는 왠지 함경도에서 나온 우리 말이 어원의 근원일 것 같은데~
그래서 '다대기'라는 말을 사용하고 싶은데!!!

아직은 안되겠네요.^^

그바람출판사에서 나온
설왕은 작가의 가슴이 따뜻해지는 에세이

아래 링크에서 만나보세요^^ 

http://aladin.kr/p/5PE5P

 

빗속을 걸어라

빗속을 걸어라

www.aladin.co.kr


전자책 (E-book) 링크도 있어요^^클릭 클릭

http://aladin.kr/p/8P8cF 

 

[전자책] 빗속을 걸어라

빗속을 걸어라

www.aladin.co.kr

 

728x90